딱지 떼고 학생들에게 고백한 노무현, 신문들 어떻게 보도했나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타고 가던 승용차가 지난 7월18일 1일 교사를 하기 위해 배명중학교로 가는 도중에 교통법규를 위반해 딱지를 떼었다. 신문들은 빠짐없이 이 사실을 기사화하였다. 이 기사들을 비교해보면 각 신문들의 정치적 성향, 또는 언론매체로서의 정직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 먼저 조선일보 기사를 보자. <노무현 후보 탄 승용차 / 교통위반 6만원 '딱지'>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후보가 타고 가던 승용차가 18일 서울 올림픽대로에서 교통법규를 위반해 6만원짜리 교통범칙금 '딱지'를 뗐다. 노 후보 차량은 이날 서울 송파구 삼전동에 위치한 배명중학교에서 오전 11시45분 학생들을 상대로 '1일 교사'를 하기 위해 여의도 당사를 출발해 가던 중 교통체증이 심해 시간을 맞출 수 없게 되자 올림픽대로의 중간 정차 지대로 질주하다가 교통경찰에게 적발됐다. 승용차 운전자는 차창 문을 조금 내리고 누가 탑승한 차인지를 밝히지 않은 채 딱지만 뗐다. 이 때문에 경찰은 이 차량이 노 후보가 탑승한 차량인지를 알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 후보는 이 바람에 10여분 늦게 학교에 도착했다. 제목을 보라. 교통위반으로 딱지를 뗐다는 게 전부다. 기사의 제목은 전체 내용의 가장 압축된 표현이다. 그래야 한다. 당연히 사람들은 그렇게 알고 있다. 사람들은 신문에 난 기사의 내용을 꼼꼼하게 다 읽지 않는다. 가장 관심있는 몇 개를 빼놓고는 대개 제목만 보고 지나가는 경우가 태반이다. 편집자는 이런 경우를 염두에 두고 기사의 내용을 가장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는 제목을 붙여주어야 한다. 이 제목이 공정하다고 생각하는가? 사실은 기사 자체도 공정하지가 않다. 동아일보를 보자. <'딱지' 떼인 盧후보 / 일일교사 서두르다 교통법규 위반>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후보의 승용차가 18일 교통법규 위반으로 적발돼 '딱지'를 떼었다. 노 후보는 이날 서울 송파구 삼전동 배명중학교 1학년 9반 일일교사로 위촉받아 학교로 가던 중 올림픽대로에서 차가 심하게 밀리자 운전사가 차량 통행이 금지된 안전지대로 승용차를 몰았고, 곧바로 교통경찰에 적발된 것. 노 후보는 수업시간 직전 간신히 학교에 도착해 학생들에게 학생들에게 "빨리 오지도 못하면서 딱지만 떼었다"고 고백한 뒤 "여러분 같으면 교통 법규를 위반하고라도 약속을 지키겠느냐, 아니면 법규를 지키고 약속에 늦겠느냐"고 물었다. 학생들중 과반수 이상이 후자에 손을 들자 "맞다. 좀 더 큰 규칙을 지키는 것이 옳다. 약속을 좀 늦더라도 나중에 양해를 구하면 되지만, 교통규칙은 예외를 인정해주기 시작하면 혼란이 생기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제 좀 뭔가 감이 잡히지 않는가? 이렇게 생각해보자. 기자들은 노 후보의 승용차가 딱지를 떼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을까? 경찰도 몰랐다고 했으니 경찰을 통해 알게 된 것은 분명 아닐 것이다. 바로 노 후보가 이를 숨기지 않고 솔직하게 '고백'하면서 강의의 생생한 사례로 들었기 때문에 교실에 있던 기자들이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선일보에서는 노 후보의 '고백'을 빼먹고 딱지를 뗀 사실만 소개했다. 교통법규나 위반하는 한심한 대통령 후보라는 이미지를 심어주려는 악의가 엿보인다. '질주'를 했느니, 차창 문을 조금 내리고 누가 탑승한 차인지를 밝히지 않은 채 딱지만 뗐다느니 하는 표현들에서 그런 악의는 쉽게 알아챌 수 있다. 무엇보다 노 후보와 학생들 사이의 솔직담백한 대화 내용을 생략한 것은 취재보도의 원칙에서 어긋난 것이다. 동아도 기사에서는 고백 사실을 소개했지만, 제목에서는 반영되지 않았다. 미흡하지만 기자는 나름대로 정황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려 했지만, 간부급 데스크에서 제목을 다소 악의적으로 뽑은 흔적이 역력하다. 조선과는 다소 차별성이 엿보이는 대목이다. 조선과 동아는 사진 없이 각각 1단과 2단 기사로 다룬 반면에 중앙일보는 2단 기사로 실으면서 조금 더 자세한 정황설명과 더불어 사진을 올린 차이를 보였다. 제목은 <"일일교사 출근길 교통위반 딱지 떼여" 노, 배명中서 강의>였다. 따옴표를 하여 노 후보가 강의중에 한 말이라는 사실을 제목으로 분명히 한 점도 다르다. 한겨레신문도 사진과 더불어 <일일교사 노후보 / 교통위반 '딱지' / 생생한 교육> 이라는 제목의 3단 기사로 실었다. 한국일보는 <盧후보 "급해도 규칙 지켜야" / 배명中 일일교사활동…후보사퇴론 겨냥 한 듯> 이라는 제목에서 보듯이, "당내 일각의 '후보사퇴론'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됐다"고 하여 교통법규 위반보다는 정치적 해석에 무게를 두었다. 다음은 경향신문 기사로서 가장 자세하게 정황을 설명하고 있다. <1일교사 된 盧> 라는 제목에 <"약속 지키려고 교통위반" 고백 / "가치충돌땐 토론후 선택 중요" / 학생들 '법준수 더 중요'에 끄덕> 이라는 요약발문을 부각시켜 놓았다.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후보가 18일 교통위반 딱지를 뗐다. 서울 송파구 배명중학교에서 일일교사 및 교사·학부모 간담회를 하기 위해 이동하던 차였다. 차가 밀리자 운전기사가 올림픽대로에서 황색 안전지대로 통행을 하다 경찰에게 적발됐다. 노후보는 경찰에 얼굴을 알리지 않았고, 6만원짜리 딱지는 기사 명의로 받았다. 노 후보는 이 일화를 소재로 배명중 1학년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대통령이 되려는 사람이 여러분과 약속을 지키자면 교통위반을 해야 될 것 같았다. 그러나 교통법규를 지켜야 되는 것도 지도자의 의무다”라며 “약속, 법규 2개 중 하나는 포기해야 한다면 어느 쪽을 선택하겠나”라며 한쪽에 손을 들게 했다. 학생들은 법규 준수 쪽 의견이 더 많았다. 노 후보는“저는 살짝살짝 어겼다. 비밀인데, 오다가 걸려 딱지를 뗐다”고 고백했다. 이어“가치가 충돌할 때는 어떤 선택을 할지 토론하고 정해가는 것”이라며“많은 사람이 손을 든 결론, 즉 늦더라도 규칙을 지키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이어“약속은 양해를 구하고 설명하면 되지만 길거리 규칙을 어기는 걸 용납하면 회복할 수 없는 무질서가 생긴다”고 덧붙였다. 이어 열린 간담회에서 학부모, 교사들의 질문에 노후보는“교육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육부장관 임기는 대통령 임기와 같이 하겠다”고 말했다. 또 교육인적자원부와 관련,“사람을 생산수단으로 보는 데 동의하지 않는 만큼 인적자원 문제는 다른 부서 영역이 아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대통령 후보의 승용차가 교통법규를 어겨 딱지를 떼었다면 그 자체로서 당연히 기사거리다. 그러나 이 경우는 숨기다가 기자들이 뒤늦게 발견하여 들통이 난 것도 아니고, 어린 학생들에게 솔직하게 털어놓으며 생생한 교육의 예화로 들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기자로서의 자질의 문제요, 신문사의 양식의 문제다. 노 후보가 고백하지 않았으면 그만이 아닌가. 그런데도 조선일보는 똑같은 얘기를 듣고도 노 후보를 흠집내는데 악용한 것이다. 사람들은 조선일보에 대해, 또는 중앙일보나 동아일보, 때로는 조중동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면 이렇게 반응한다. "나도 다 알아. 그 정도 분별력도 없는 줄 아는가? 너희들만 똑똑한 게 아니야. 무슨 신문을 보건 내가 알아서 하니 상관하지 말아. 조선일보 나쁜 것 나도 알고 보니 걱정하지 말어." 그럴까? 천만의 말씀이다. 왜? 이렇게 여러 신문을 비교하면서 보지 않는 한, 자기가 구독하는 신문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없다. 가정에서 신문을 두 개 이상 구독하는 독자는 거의 없다. 따라서 이것은 개인의 능력 문제가 아니다. 제아무리 어느 분야의 전문가고 박사라도 매일같이 이렇게 꼼꼼하게 따지면서 진실에 접근해가려는 노력을 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나같은 사람이 쓰는 글을 보며 교정을 하든지, 아니면 애시당초 정직한 신문을 구독해야 하는 것이다. 조선일보, 또는 조중동 중 하나를 구독하는 사람들은 진실과 거짓을 분간하지 못하면서 남의 장단에 춤을 추며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
![]() ![]() ![]() |
![]() ![]() ![]() ![]() ![]() ![]() |